간단한 혈액검사 피검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는 우리의 건강정보는 무수히 많습니다.
그 중에서도 단백질, 총단백, 혈청단백, Total Protein 다양하게 불리는 단백질 수치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. 이 단백질 수치의 정상범위와 수치가 높으면/낮으면 어떤 문제가 우려되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.
[목차]
1. 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, 총단백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, 총단백 정의
- 단백질은 체내 모든 조직의 구성분이며 담즙과 소변을 제외한 모든 체액의 구성분입니다. 단백질, 총단백, 혈청단백, Total Protein 등 다양하게 불리는 이 수치는 혈청 중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의 총칭입니다.
- 총단백의 주요성분은 알부민과 글로부린입니다. 특히 알부민은 총단백량의 약 67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, 총단백 의미
- 음식물로부터 영양으로 섭취된 단백질은 소화관내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혈관을 통해 간으로 운반됩니다. 그곳에서 아미노산은 단백질로 합성됩니다.
- 혈청 단백은 생체중의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. 혈청단백은 항상 체내에서 계속 합성되면서 파괴도 일어나 일정한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
- 그러므로 혈청 단백의 양을 조사하여 간과 신장의 건강 유무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, 총단백 정상범위
- 단백질 수치의 정상치는 성인에서 6.5~8.0g/dL 입니다.
- 신생아나 유아기에서는 농도가 성인보다 1.5g/dL 정도 낮으나 성장하면서 점차 성인과 동일해지며, 60세 이상이 되면 점점 감소하여 성인에 비해 0.5g/dL 정도 낮아집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, 총단백 이상치
- 생체 중의 단백 분포에 이상이 생기면 부종이 나타나고 흉수, 복수가 생기는 등의 병상이 나타나게 됩니다.
- 단백이 요나 소화관 등을 통해서 체외로 빠져나갈 때도 혈청 단백 농도의 이상을 보입니다. 단백 농도의 이상은 체내의 단백의 정상적인 합성과 붕괴의 평형 상태에 이상이 초래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.
2. 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높으면?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높으면?
- 혈청 총 단백의 농도가 8.5g/dL 이상으로 높으면 고단백혈증이 됩니다.
- 높은 단백질 수치는 간질환, 신질환, 소화와 흡수가 되지 않는 질환이 있을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높음 질환
- 고단백혈증 의 경우에는 혈액 농축에 의한 탈수증, g-글로불린의 증가에 의한 만성 간장애나 만성 간염증, 다발성 골수종 등이 우려됩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높음 관리법
-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 1kg 당 0.8~1.2g 으로 권장합니다.
- 예) 체중 70kg 남성 하루 권장 단백질 섭취량 : 약 70g
3. 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낮으면?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낮으면?
- 혈청 총 단백의 농도가 6.0g/dL 이하로 낮으면 저단백혈증이 됩니다.
- 낮은 총 단백 수치는 영양 결핍, 염증성 장질환의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낮음 질환
- 저단백혈증에서는 붓기가 있거나 복수가 차기도 합니다. 그리고 이 외에도 영양실조증, 중증 감염증, 갑상성 종양,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의심되기도 합니다.
혈액검사(피검사) 단백질 수치 낮음 관리법
- 식물성 단백질보다 동물성 단백질의 체내 이용률이 더 높습니다.
- 육류와 생선은 질 좋은 단백질로 필수 아미노산이 고루 들어있습니다. 붉은색 고기는 포화지방이 많아 혈관을 노화시킬 수 있으므로 흰 살 부위를 권장합니다.
[함께 읽으면 좋은 글]
로또 1등 - 당첨후기, 실수령, 수령방법
6년째 꾸준히 한 번호 조합만 샀더니, 로또 1등 당첨! 인생역전 로또 1등 당첨! 허황된 꿈일 수도 있지만, 너무 몰입하진 않고 전국민이 함께하는 계모임 정도로 가볍게 여기며 즐겨왔습니다. 언
hobbang-e.tistory.com
2023년도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- 자산, 특징 총정리
한국 중산층 절반 "나는 하위층이다" 위의 이야기 들어보셨나요? 소득 기준으로 우리나라 중산층의 절반가량은 자신을 중산층이 아니라 하위층으로 인식한다고 합니다. 중산층은 단어 그대로
hobbang-e.tistory.com
댓글